교과목명 교과목개요
한글 영문

문헌정보학 입문

Introduction to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문헌정보학의 발전 과정과 주요 개념, 기초 이론을 소개함으로써 학문에 대한 기본 지식을 습득하고 문헌정보학의 세부 영역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향후 학과 전공과목을 이수하기 위한 기본적 소양을 갖추도록 한다.

책과 독서의 이해

Understanding of Books and Readings

인간은 책을 통해서 정보를 생산, 유통, 소비한다. 독서는 인간 지적 활동에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과목은 책과 독서의 본질적인 의미를 이해하는 데에서부터 그것이 인간 삶에 미치는 영향에 이르기까지 책과 독서에 관련된 기초 지식을 공부한다.

정보학개론 

Introduction to Information Science

정보의 속성 및 행태에 대한 이해를 통해 전체적인 정보의  흐름을 지배하는 요인을 분석하는 교과목이다. 아울러 정보의 발생, 배포, 수집, 조직, 축적 등의 과정을 알아보고 축적된 정보에 대한 최적의 접근성과 이용성을 가지도록 가공하여 처리하는 방법을 배우게 된다.    

도서관문화사 

History of Librarianship

인류문화사를 정보의 관점에서 조망하여 인류의 지식발달사에 기여한 도서관의 생성과 발전 과정 및 기록 매체의 변천 과정을 공부한다.

목록법의 이해

Understanding of Cataloging

일반적인 학문 분류와 문헌 목록에 대한 기본 개념 이해를 목표로 하는 과목이다. 목록 분류의 기초를 이해하고 실제 도서관에서 각종 정보자원을 조직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와 시스템에 내재된 이론과 원리를 습득한다.

데이터베이스의
활용

Database Management systems

현대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데이터베이스에 관한 주요 개념을 이론적으로 학습하고 실습하여 실제 현장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정보검색론 

Theroy of Information Retrieval

정보검색시스템의 개념, 목적, 구조, 기능 등을 배우고 정보검색시스템이 기반하고 있는 검색엔진의 원리와 다양한 탐색기법에 대해 논의한다. 정보검색시스템의 제작과 운영 그리고 관리에 관한 이론과 방법을 숙지한다. 

기록관리론 

Archival Studies

정보의 수집, 선별, 평가, 정리 기술 및 기록 등과 같은 기록 관리의 핵심영역을 학습한다. 이와 관련하여 기록정보서비스, 기록전문가, 디지털 정보 보존 등에 관한 기본 내용도 공부하고,   국내외 기록관리학의 동향과 변화도 파악한다.

정보분류론

Understanding of Classification

문헌자료의 분류 체계에 대한 원리와 역사를 익히고, 이에 따른 실제 적용 능력 배양을 목표로 한다. 특히, 듀이십진법을 중심으로 하는 분류의 제이론과 실제를 학습하고, 아울러 도서기호의 기능과 그 적용 과정을 파악한다.

어린이청소년 자료

Literature and Information Resources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어린이와 청소년에 대한 이해와 그들의 독서행태에 대해 이해하고 교과별, 주제별 자료에 대한 이해와 활용 능력을 배양한다. 또한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독서 자료의 평가, 선정, 이용과 관련된 이론과 지식을 습득한다.

공공도서관 경영

Management of Public Libraries

현대사회 공공도서관의 역할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공중 봉사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하여 양질의 봉사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서지학의 이해

Introduction to Bibliography

서지학의 개념과 체계를 이해하고 형태 서지학의 이론과 실제를 학습한다. 특히, 고서를 선택하고 평가하기 위한 기초지식인 고서의 장정, 인쇄수단, 판본, 필사·간행시기, 표기문자, 편찬체제 등에 대해 공부한다.

디지털도서관론

Digital Libraries

도서관업무의 전산화와 관련된 제반 사항에 대해 역사적/기술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디지털도서관의 구조, 기능, 특성에 대해 대표적 사례와 함께 분석한다. 아울러 디지털도서관의 설계, 구축과 운영에 필요한 기술적/경영적 지식을 제공한다.

독서교육론

Reading Guidance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체계적, 조직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론과 지도 방법을 학습한다. 구체적으로 독서의 의의와 중요성, 독서교육의 개념, 계획, 방법, 독서치료 프로그램과 상황별 도서목록의 작성과 활용, 독서교육 평가 등의 내용을 포괄한다.

장서관리론 

Collection Management

정보자원의 생산, 배포에 필수적인 원칙과 표준을 익히며, 이들의 개발, 관리 방법을 습득하고 정보 이용자/ 비이용자의 정보요구에 근거하여 다양한 종류의 정보자원을 선정하고 평가하며, 주제 게이트웨이를 구축하여 이들을 관리하는 능력을 기른다.

정보네트워크 

Information Network

정보 네트워크와 도서관 네트워크의 전반적인 체계에 대한 이해와 응용에 관해 학습한다. 정보네트워크를 이용, 설계, 서비스 운영하는 데 요구되는 데이터 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의 기초적 기술을 익히고 그 발전과 응용에 관한 구체적인 사례를 다룬다.

학교도서관경영

School Library Management

학교도서관/미디어센터의 의의, 목표, 내용 등 기초 이론과 경영의 원리를 배우고 도서관 및 정보 활용과 관련한 교과목의 수업을 위해 교재연구 및 지도법을 숙지하여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안을 살펴본다.

정보조직연습 

Practices in Organization of Information

정보조직을 통해 습득한 지식을 실제 업무에 적용하는 능력을 배양하고 다양한 정보시스템을 선정하여 직접 실습해 봄으로써 다양한 환경과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주제별 정보자료

Subject-based Information Resources

다양한 정보자원의 범주, 발전과정, 형태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정보자원의 생산, 축적, 배포 과정을 이해하고 주제영역별 정보자원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를 통해 정보자원에 대한 이해와 활용 능력을 함양한다.

정보이용자론

Users studies of Libraries

정보봉사의 철학과 원리를 학습한다. 정보제공, 교육봉사, 면담방법, 직원훈련 등 정보이용자와 관련된 정보봉사의 이론적인 측면을 다룬다.

미디어센터경영

Management of Media Center

학교도서관의 운영과 조직, 자료관리, 도서관 이용자 서비스 등 초·중·고등학교의 자료실, 도서관 등의 교육자료봉사의 문제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교육하여 전문직 사서로서의 발전적인 역할수행을 하도록 한다.

문헌출판과 저작권

Publishing and copyrights

문헌이 출판되는 기술적인 시스템에 관해 전반적인 이해하고, 책의 제작, 유통, 이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저작권 문제를 현행법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특히, 디지털 전자 자료의 저작권 침해 사례를 조사하고 검토하여 미래 도서관에서 이에 대체할 수 있는 판단력을 기른다. 

연속간행물관리 

Management of Periodicals

정보, 공공기관 혹은 학회 등에서 간행하는 간행물의 개념, 유형과 특성을 이해하고 연속 간행물의 생산, 수집, 이용에 관한 이론과 방법을 학습한다. 이러한 학습활동을 통하여 간행물을 주제별로 구분하고 분석하며  평가 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참고정보봉사론

Information and Reference Services

지식정보기관에서 참고봉사가 가지는 의미와 목적에 대해 조망해 보고 현재 각종 지식정보기관에서 제공하는 정보서비스의 유형과 특성 그리고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정보서비스 분야의 주요 이론을 소개하고, 실제 서비스 상황에 대한 적응력을 배양한다.

기업정보관리론

Business Information Management

기업정보관리의 현황과 전반적인 문제점을 살펴보고 기업 활동 수행에 필요한 정보원과 기업정보관리를 위한 제반 기법을 학습하여 기업 활동에 요구되는 정보서비스 및 정보컨설팅을 수행하기 위한 능력을 함양한다.

사서를 위한
캡스톤디자인

Capstone Design for Librarians

현장 밀착형 교과목으로 문헌정보 현상과 도서관, 기록관, 정보센터 등 현장과 관련된 핵심 이슈를 진단하고 문헌정보학이 현장과 소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지역 도서관과 연계된 과제를 통해 예비 전문가로서의 현장 적용 능력을 함양하고 지역사회 의 정보요구에 부응하는 현장 서비스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