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개론 |
Introduction to Psychology |
임상심리학, 상담심리학을 비롯하여, 발달심리학, 사회심리학, 실험심리학, 신경심리학 등 심리학의 다양한 분야를 개론적으로 설명하는 교과목으로, 학생들이 심리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심리학 분야에 대해 입문할 수 있도록 돕는 과목이다. |
발달심리학 |
Developmental Psychology |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성장해나가서 죽음에 이르는 단계까지 발달하면서 나타나는 심리적 현상을 배우는 과목이다. |
상담심리학 |
Counseling Psychology |
다양한 상담이론을 습득하며, 상담심리사나 임상심리사로서의 기본적인 자세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과목이다. |
이상심리학 |
Abnormal Psychology |
인간의 이상행동, 정신병리적 문제 등을 다루며, 그 심리적 원인과 과정을 배우는 과목이다. |
학습심리학 |
Learning Psychology |
인간이나 동물이 학습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심리학적 기제를 배우는 과목이다. |
평생교육론 |
Introduction to Lifelong Education |
평생교육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 운영체제를 파악하고 평생교육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정립할 수 있는 과목이다. |
커리어코칭및직업정보 |
Career Coaching and Job Information |
한국의 직업정보, 직업목록, 직업분류표를 이해하고 한국 일자리 채용정보를 탐색한다. 이를 활용하여 개인의 적성, 흥미, 강점을 찾아 자기주도적 진로설계를 위한 코칭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과목이다. |
평생교육방법론 |
Instructional Methods in Lifelong Education |
학습자들의 특성에 따라 학습목적과 학습내용에 따라 사용되는 다양한 평생교육방법론을 습득하는 과목이다. |
심리검사 |
Psychological Testing |
심리검사의 기본적 단계를 배우는 과목으로, 일반적으로 상담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다양한 심리검사를 실시하고 해석할 수 있도록 돕는 과목이다. |
코칭심리학 |
Coaching Psychology |
코칭 장면에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이론과 모형에 대하여 학습하고 심리학적 관점에서 제시된 코칭 심리 이론과 모형을 토대로 코칭기법을 학습하는 과목이다. |
진로상담 |
Career Counseling |
진로 및 직업지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담이론과 상담기법, 심리검사등을 배우고, 이를 통해 진로상담을 실시할 수 있도록 돕는 과목이다. |
집단상담 |
Group Counseling |
심리치료와 상담이론을 수강한 이후에 신청 할 수 있으며, 집단상담과 집단치료의 원리, 이론, 기법 등을 배우는 과목이다. |
성격심리학 |
Personality Psychology |
성격에 대한 정의와 성격심리학의 여러 쟁점을 이해하며, 관점에 따라 각기 다른 성격이론에 대해 학습하여 인간의 성격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과목이다. |
심리통계및상담연구 |
Psychological Statistics and Counseling Study |
심리학에서 자주 사용하는 통계적 원리와 기법을 배우고, SPSS등 기본적인 통계 소프트웨어 사용법을 배우는 과목이다. |
성인학습및상담 |
Adult Learning and Counseling |
성인의 학습 전반에 대한 이론 및 지식을 습득하고, 성인의 학습역량 및 장점의 극대화를 돕는 과목이다. |
상담면담및코칭기법 |
Counseling and Coaching Techniques |
상담/코칭을 시작할 때부터 종결할 때까지, 상담/코칭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상담자의 반응과 기법을 익혀서 실제 상담/코칭 장면에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과목이다. |
문화예술교육론 |
Introduction to Culture and Arts Education
|
예술을 문화적 교육으로 이해하고 문화, 예술, 교육을 통합할 원리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육현장에서 예술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를 이해하고 경험함으로써 자아실현하는 인간으로 성장하게 돕는다. |
연구방법론 |
Research Methodology |
심리학 연구의 기초가 되는 연구방법론에 대한 이해를 도모함을 목적으로 한다. 통계학적 기본 지식을 바탕으로 연구의 내적, 외적타당성에 대한 개념과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그리고 잠재변수 모형에 대한 내용을 학습한다. |
임상현장실습I |
Practicum I |
상담심리사와 임상심리사로서 성장하기 위해 실제적인 현장에 나가서 실습을 실시하고, 검사와 상담에 대한 수퍼비전을 받는 과목이다. |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론 |
Lifelong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
평생교육사로서 현장에서 필요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과정을 학습하는 과목이다. |
청소년상담론 |
Adolescence Counseling Theory |
청소년들의 특징과 다양한 이론을 배우고, 특히 청소년상담에서 중요한 부분과 상담의 진행방법에 대해서 배우는 과목이다. |
임상현장실습
II |
Practicum II |
임상현장실습I을 수강한 이후에 신청 할 수 있으며, 교외의 다양한 기관으로 파견을 나가서 직접 심리검사와 상담을 실시하고, 이에 대한 수퍼비전을 받는 과목이다. |
음악치료이론과실제 |
Theory and Practice of Music Therapy |
음악치료 이론을 비롯한 음악의 심리치료적 기제를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 학습을 목적으로 하는 과목이다. 음악치료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더불어 음악치료가 적용될 수 있는 대상의 특성을 이해하고, 각 특성에 맞는 구체적 활동 방안을 탐색하고 학습할 수 있다. |
평생교육실습 |
Lifelong Education Practicum |
평생교육기관 및 관련기관에 나가 참관, 참가, 실제 실습을 통하여 평생교육 전반의 이론을 종합적으로 적용 실천하여 연구 검토하는 과목이다. |
평생교육경영론 |
Management of Lifelong Education |
현대 사회에서 평생교육기관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경영학적 이론과 실제가 어떻게 이해되고 적용될 수 있는지 탐색하는 과목이다. |
청소년이해및교육론 |
Adolescence Theory of Understanding & Education |
청소년들의 특징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을 배우고 청소년 비행 및 중독 등에 대해서 배우는 과목이다. |
미술치료이론과실제 |
Art Therapy in Theory and Practice |
임상미술치료의 이론과 임상미술치료의 발전을 이해하고 DSM-5에 기반하여 증상별 미술치료 적용 기법을 학습한다. 임상현장에서 필요한 미술치료 접근을 학습하고 내담자별 적용을 통한 임상실제를 배울 수 있다. |